
 |
농업경영 컨설팅 항목 |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조직,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인력관리, 교육 및 훈련, 복지후생 |
<생산 및 사양관리> |
○ 시설구조 및 자동화 |
시설형태, 가온 및 냉방, 보온시설, 환기, 환경자동화, 관수 |
○ 환경관리 |
광관리, 온도관리, 탄산가스사용, 기비, 추비, 관수 |
○ 작물관리 |
토양조건, 품종선택, 병해충 예찰활동, 병해충 방재, 출하 전처리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재무분석(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조직,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인력관리, 교육 및 훈련, 복지후생 |
<생산관리분야> |
○ 원재료의 조달 |
원재료의 검품·검수 / 원산지 / 원재료의 조달방법 |
○ 반입 / 중간 / 최종 검사 |
검사기준 / 검사방법 |
○ 위생관리 |
위생관리 일반 / 개인위생 / 시설위생 / 작업위생 / 공장청정활동 |
○ 생산계획 및 공정관리 |
생산계획 / 생산공정 Flow / 공정 Lay Out |
○ 기계 및 장비관리 |
기계 및 장비관리 / 기계 및 장비 작동요령 |
○ 부적합품 관리 |
부적합품 관리기준 / 부적합품 처리방법 / 원인분석 / 재발방지 |
○ 시정 및 예방조치 |
시정 및 예방조치 항목 / 조치방법 / 조치결과의 처리 |
○ 지속적 개선 |
제안제도 | * 상기 항목을 기준으로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고 농가요구 등 필요에 따라 항목 대체가능
 |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조직,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교육 및 훈련 |
<한우> |
○ 밑소선발 |
밑소선택 / 구입방법, 밑소구입월령 |
○ 사양관리 |
거세월령 / 비육기간(생후월령) / 송아지입식관리 / 조사료확보 / 사료구입 / 육성기·비육전기·비육후기 사료급여 |
○ 사육시설 |
두당우사면적 / 우사위치·온도 / 사료급 이·급수시설 / 분뇨혼합물처리 / 분뇨수거 운반 |
<낙농> |
○ 개량 및 종축관리 |
혈통등록 / 정액구입방법 / 후보축종부관리 / 착유우종부관리 |
○ 위생관리 |
착유우관리 / 착유기세척방법 / 유방염진단 / 질병예방접종, 청소 및 발굽손질 |
○ 사료급여관리 |
조사료생산 / 착유우·건유우·육성우 사료급여 / 송아지초유급여 |
○ 사육시설 |
착유시설 / 축사시설, 사료급이·급수시설 / 분뇨처리 |
<양돈> |
○ 자돈생산 |
종돈구입 / 종돈품종수 / 인공수정 / 주간관리 / 포유기간 / 임신돈 사료급여 |
○ 비돈육 생산 |
비돈육 사료급여 / 거세 / 압·수 분리사육 |
○ 질병관리 |
예방접종 / 위생 / 돈사내·외부소독 |
○ 사육시설 |
돈사구성 / 돈사간격 / 온·습도, 환기관리 / 비육돈 평당사육두수 / 뇨및세척수처리 / 돈분처리 |
<양계> |
○ 계사시설 |
계사환경 자동화시설 / 사료급이·급수시설 / 계사바닥 및 깔집 |
○ 환경 및 일반관리 |
계사환경관리(온도·습도·환기) / 초생추구입 / 평당사육수 / 점등관리 |
○ 사료급여관리 |
사료선택 / 육성기별사료급여관리 / 휴약사료급여 |
○ 질병관리 |
방역및질병관리 / 초생추입추관리 / 계사입지조건(청정지역, 수송조건, 축산공해, 계사방향) |
 |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교육 및 훈련 |
<생산관리> |
○ 생산기반 |
경지정리 / 필지규모화 / 단지화 |
○ 재배관리 |
지력향상 / 우량품종 확보 및 관리 / 육묘 최적화 / 시비, 방제, 제초요령 / 물관리 / 수확, 건조 |
○ 친환경 재배 |
친환경 재배기술 및 친환경 농자재 교육, 지도 |
○ 기계화 및 장비관리 |
노동대체 기계화 방법 / 기계 및 장비관리 / 작동 및 운전능력 |
○ 수확 후 품질관리 |
보관·저장 |
<생산관리분야> |
○ 산지관리 |
산지 작목반 구성 / 계약재배 / 재배요령 |
○ 농가 출하관리 |
출하요령 / 출하방법 / 출하시기 |
○ 검품/검수관리 |
검사기준 / 검사항목 / 검사요령 |
○ 생산 계획 및 공정관리 - 선별 - 제품처리(세척, 가공) - 포장 - 창고보관 관리 |
생산계획 / 생산공정 Flow / 공정 Lay Out |
○ 기계 및 장비관리 |
기계 및 장비관리 / 기계 및 장비 작동요령 |
○ 부적합품 관리 |
부적합품 관리기준 / 부적합품 처리방법 / 원인분석 / 재발방지 |
○ 상품 출하관리 |
배송관리기준 / 배송요령 및 방법 |
○ 위생관리 |
위생관리 일반 / 개인위생 / 시설위생 / 작업위생 / 공장청정활동 |
○ 기본운영 계획 수립 |
조직형성 / 운영주체의 선정 / 기본계획 수립 / 조직구성 등 |
○ 업무 절차(Process) |
업무 시스템 개발 / 업무 처리지침·기준·표준 등 개발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재무분석(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조직,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인력관리, 교육 및 훈련, 복지후생 |
<생산관리> |
○ 고품질 쌀 생산기반 구축 |
재배단지 조성 / 품종 단일화 / 건조, 저장시설 확충 / RPC 시설 현대화 |
○ 저온 저장 관리기술 |
저온 저장 기술지도 / 싸이로 운용 요령 |
○ 품질관리 |
미질의 개선, 미질의 시험·검사 |
○ RPC 경영분석 |
경영지표에 의한 평가 / 경영개선사항 / 통합요건 |
○ 제품 마케팅 계획 |
제품정책 / 가격정책 / 촉진정책 / 유통정책 |
○ RPC 경영평가 |
RPC 경영성과분석 / 종합평가 |
○ RPC 통합 |
통합추진계획수립 / 통합절차와 방법 |
○ RPC 시설현대화 |
시설교체 및 자동화 계획 수립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인력관리, 교육 및 훈련 |
<운영시스템분야> |
○ 농촌관광 기반조성 및 계획수립 |
향토자원(문화, 유산, 유적, 특산물 등)의 조사, 분석 / 관광기반 및 인프라 구축 및 사업 계획수립 |
○ 농촌관광 테마개발 |
향토자원의 발굴 / 향토산업의 육성 / 특성화 및 차별화 |
○ 농촌관광 추진방법 |
- 사업선정(전통테마마을, 녹색농촌체험장, 정보화마을, 희망농촌 건설사업 등) 및 사업추진 재원 확보 - 기본 사업계획 수립 / 운영주체의 선정 / 운영프로그램 개발 / - 운영요원의 교육 및 훈련 |
○ 우수사례 벤치마킹 / SWOT 분석 |
우수 수범 지자체 견학 / SWOT 분석 등 |
<경영관리분야> |
○ 방침 및 목표관리 |
최고 경영자 경영의지, 장·단기 사업계획 / 결과, 경영 System 수립 |
○ 재무관리 |
경영장부 작성, 수지계획 및 이익관리, 자금관리, 재무분석(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
○ 판매관리 |
판매 및 유통계획, 유통조직, 유통방법, 고객관리 |
○ 조직 및 인사관리 |
인력관리, 교육 및 훈련, 복지후생 |
<운영분야> |
○ 농축산물 브랜드 육성 |
농축산물생산주체 육성 / 산지공동마케팅조직 선정 / 우수축산물브랜드경영체 육성,지원 / RPC 고품질 브랜드쌀 생산유통 중심체 육성 / 공동브랜드 개발 및 상표등록 / 브랜드 홍보 |
○ 농축산물 브랜드 관리 |
시중 유통 농축산물 브랜드 선호도 조사 / 농축산물 브랜드 파워 조사 / 시중 유통 브랜드 쌀 품질평가 / 우수 브랜드 경영평가 / 농축산물 품질인증 / 농축산물 안정성 확보에 따른 제도 / 종합적인 경영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