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별미|동지팥죽 집에서 만들기

보고 느끼고 2008. 12. 15. 21:19

달콤한 붉은 팥, 동동 뜬 새알심은 덤 동지팥죽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이 있다. 동지한파라 불리는 강추위가 시작되고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 동지팥죽을 쑤어 먹자.

긴긴 겨울밤 뉘엿뉘엿 지는 한 해를 마무리하고 헛헛한 마음은 뜨끈한 팥죽으로 달래보자.

 

 



동지팥죽 먹어야 추위 안 타요
동짓날 팥죽을 쑨 유래는 7세기 무렵 중국의 풍습을 담은 좥형초세시기좦란 책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이야기는 이렇다.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전염병 귀신이 됐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이야기이다.

우리나라에선 동지팥죽을 이웃끼리 서로 나누어 먹기도 하는데 절에서도 죽을 쑤어 중생들에게 나누어주기도 한다.

또 옛부터 팥죽을 먹어야 겨울에 추위를 타지 않고 공부를 방해하는 마귀들을 멀리 내쫓을 수 있다고 여긴다.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에도 팥죽, 팥떡, 팥밥을 지어 먹는데 이 역시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집·에·서·만·들·어·볼·까·요

 

재료
팥 1컵, 새알심 재료(찹쌀가루 1컵, 물 5큰술), 소금 약간, 물 20컵


만들기


1 팥은 깨끗이 씻어 조리에 일어 냄비에 담은 뒤 물 10컵을 넉넉히 붓고 끓인다.

끓어오르면 첫물은 따라 버리고 다시 물 10컵 정도를 붓고 손으로 눌러서 쉽게 으깨질 때까지 삶는다.

2 푹 무르게 삶은 팥을 식혀서 손으로 주물러 으깬 다음 굵은 체에 내려 팥물을 받아 가만히 두어 앙금을 가라앉힌다.

3 찹쌀가루에 물 5큰술과 소금을 약간 넣고 반죽해 지름 1.5cm 크기로 빚는다.

끓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고 새알심을 삶아 동동 떠오르면 건져서 찬물에 헹구어 놓는다.

4 ②의 가라앉힌 팥물을 가만히 따라 윗물과 앙금으로 나누어 윗물만 먼저 냄비에 넣어 끓인다.

5 냄비의 팥물이 반 정도로 졸면 앙금을 넣고 한소끔 끓인 다음 그릇에 담고 ③의 새알심을 넣어 낸다.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국의 수준을 올리는 고명~~  (0) 2008.12.16
5분 만에 뚝딱~ 오븐없이 만드는 케이크  (0) 2008.12.15
된장찌개 맛내기 비법   (0) 2008.12.15
생선 조림  (0) 2008.12.12
잡채전과 잡채말이   (0) 200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