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슨 : 속주를 위한 기타 연습 파트 1
속주를 하고 싶다 파트1
빠른 연주보다도 정확하고 듣기 좋은 그리고 노련한 연주를 하려면 정말이지 크로메틱 연습은 중요합니다.
@가장 처음 할일은 손가락을 늘리는 일이겠지요.
A
------------------------------------------1-2-3-4-5-4-3-2
---------------------------------1-2-3-4-----------------
------------------------1-2-3-4--------------------------
----------------1-2-3-4----------------------------------
--------1-2-3-4------------------------------------------
1-2-3-4--------------------------------------------------
---------------------------------------------------------
-5-4-3-2-------------------------------------------------
-----------5-4-3-2---------------------------------------
---------------------5-4-3-2-----------------------------
-------------------------------5-4-3-2-------------------
-----------------------------------------5-4-3-2---------
----------------------------------------------3-4-5-6----
-------------------------------------3-4-5-6-------------
----------------------------3-4-5-6----------------------
-------------------3-4-5-6-------------------------------
----------3-4-5-6----------------------------------------
-3-4-5-6-------------------------------------------------
먼저 각 플랫에 4개의 손가락을 하나씩 올려놓고 (한개의 플랫을 한개의손가락으로 담당합니다.) 픽킹을 합니다.
픽킹을 얼터너티브 피킹을 하는데 처음엔 메트로놈을 틀어놓고(이것은 가장기본 입니다.) 강하게 픽킹을 합니다. 왜냐하면 힘이 센 사람은 약하게 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약한 사람은 자신의 힘보다 세게 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이야기 하자면 처음에 힘을 길러야 한다.
다들아시겠지만 후리는 식의 성의 없는 연주는 어떠한 감동도 낳지 못합니다.
이제 두번째 연습을 합시다.
이경우 두가지로 연습할수 있습니다.셋잇단음표로 연습하는 것과(먼저 마디당 3개씩 치는 연습을 한다.)
4분음표로 치는 것이다. 자신이 초보자 인데 잘한다고 생각이 들면 더욱 느리게 쳐보세요
B
-------------------------------1-2-3-4-3-2---------------
-------------------------1-2-3-------------4-3-2---------
-------------------1-2-3-------------------------4-3-2---
-------------1-2-3-------------------------------------4-
-------1-2-3---------------------------------------------
-1-2-3---------------------------------------------------
3개의 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4-5---
-------------------------------------------3-4-5---------
-------------------------------------3-4-5---------------
-3-2---------------------------3-4-5---------------------
-----4-3-2---------------3-4-5---------------------------
-----------4-3-2---3-4-5---------------------------------
1,2,4번 손가락을 이용해서 치세요 이 연습은 픽킹 패턴이 좀 다릅니다. 6번 줄에서 다운업다운 한다음 5번줄로 내려갈때 업하기 때문에 처음의
얼터너티브 픽킹과는 다른 식의 느낌이 들것입니다.
C
-----------------------------------------2-3-4-1-etc-----
---------------------------------1-2-3-4-----------------
-------------------------4-1-2-3-------------------------
-----------------3-4-1-2---------------------------------
---------2-3-4-1-----------------------------------------
-1-2-3-4-------------------------------------------------
이 연습은 손가락의 처음 순서를 연습하는 겁니다. E 음을 2번손가락을 이용해서 먼저치고, A 음을 3번 손가락부터 치고, D 음을 4번 손가락
,G 음을 5번 손가락으로 친다.
##다음 연습
아주 기본적이지만 드라마틱한 솔로의 전형들이 이런 식이지요 천천히 그리고 정확하게 치기 시작합니다.
D
-1-2-3-4-2-3-4-5-3-4-5-6-4-5-6-7-5-6-7-8-6-7-8-9-etc-----
---------------------------------------------------------
---------------------------------------------------------
---------------------------------------------------------
---------------------------------------------------------
---------------------------------------------------------
--------------------------------1-3-4--2-4-5-------------
--------------------------1-3-4---------------2-4-5------
--------------------1-3-4----------------------------2-4-5etc
-------------1-3-4---------------------------------------
-------1-3-4---------------------------------------------
-1-3-4---------------------------------------------------
-------------------------------1-2-4--6-4-3--------------
-------------------------1-2-4--------------6-4-3--------
-------------------1-2-4---------------------------6-4-3-etc
-------------1-2-4---------------------------------------
-------1-2-4---------------------------------------------
-1-2-4---------------------------------------------------
위의 두가지 패턴은 손가락 번호를 잘 지켜서 칩니다. 같은 방식으로 먼저 6번줄에서 치기 시작해서 1번줄로 갔다가 역순으로 연습합니다.
이 연습은 당신이 상상하는 연주를 칠수 있게 많이 도와줄것입니다.
---------------------1-3--4-2----------------------------
-----------------1-3----------4-2------------------------
-------------1-3------------------4-2--------------------
---------1-3--------------------------4-2----------------
-----1-3----------------------------------4-2------------
-1-3------------------------------------------4-2--------
검지와 애지를 사용합니다.
---------------------2-4--5-3----------------------------
-----------------2-4----------5-3------------------------
-------------2-4------------------5-3--------------------
---------2-4--------------------------5-3----------------
-----2-4----------------------------------5-3------------
-2-4------------------------------------------5-3--------
장지와 약지를 사용합니다.
---------------------1-4--5-2----------------------------
-----------------1-4----------5-2------------------------
-------------1-4------------------5-2--------------------
---------1-4--------------------------5-2----------------
-----1-4----------------------------------5-2------------
-1-4------------------------------------------5-2--------
검지와 약지를 사용합니다. 한개당 15-25분 정도는 연습하세요 그리고 연주인들에게서 도는 이야기 인데 하루 3시간 이상씩은 꾸준히 쳐주어야지
실력이 는다는 것이죠
===========================================================
h = 햄머링 ps = 픽크 스크레치
p = 풀링오프 % = 다시 친다.
~ = 비브라토
b = 벤드 또는 초킹
/\ = 슬라이드
* = 하모나이즈
x = 대리 코드
tr = 트릴
=======================================================
---------------------------------------------------------
---------------------------------------------------------
-------4-5-------------6-7-------------8-9-------------10
-----3-----4---------5-----6---------7-----8---------9---etc
---2---------3-----4---------5-----6---------7-----8-----
-1-------------2-3-------------4-5-------------6-7-------
이번 것은 아르페지오 연습인데 기타를 좀 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동일 선상의 픽킹보다는 다른 줄로 이동하면서 그것도 한번씩 치면서
이동하는 것이 더 힘들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가장 중요한 것이 피킹인데 두가지 경우로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먼저 다운으로만 치는 경우입니다. 스윕이라고도 하죠 잉위 맘스틴이 밥 먹듯이 치는 그런 주법입니다.
왼손이 기타줄 위를 청소하듯이 싹 쓸어주는 것처럼 보이지요 하지만 왼손은 정확하게 짚어주고 오른손은 콤비네이션을 잘 이루어주지 않으면 정말 듣기 싫어지죠
그리고 두번째는 얼터너티브 픽킹을 하는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아르페지오나 또는 스윕과 혼용할 경우 그리고 보통 솔로에서 좀더 속도감을 요할때 쓰죠
위의 것을 두가지 방법으로 다 연습해보세요(아 그리고 전 시간에도 이야기 했지만 절대로 절대로 메트로놈을 잊지 마세요.항상 함께 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A
----------------------------------------------2-3-4-1----
-------------------------------------2-3-4-1-------------
----------------------------2-3-4-1----------------------
-------------------2-3-4-1-------------------------------
----------2-3-4-1----------------------------------------
-2-3-4-1-------------------------------------------------
B
4-5-6-3--------------------------------------------------
--------4-5-6-3------------------------------------------
----------------4-5-6-3----------------------------------
------------------------4-5-6-3--------------------------
--------------------------------4-5-6-3------------------
----------------------------------------4-5-6-3-etc------
C
---------------------------------------------3-4-1-2-----
------------------------------------3-4-1-2--------------
---------------------------3-4-1-2-----------------------
------------------3-4-1-2--------------------------------
---------3-4-1-2-----------------------------------------
-3-4-1-2-------------------------------------------------
-4-5-2-3-------------------------------------------------
---------4-5-2-3-----------------------------------------
-----------------4-5-2-3---------------------------------
-------------------------4-5-2-3-------------------------
---------------------------------4-5-2-3-----------------
-----------------------------------------4-5-2-3--etc----
D
-----------------------------------------4-1-2-3---------
---------------------------------4-1-2-3-----------------
-------------------------4-1-2-3-------------------------
-----------------4-1-2-3---------------------------------
---------4-1-2-3-----------------------------------------
-4-1-2-3-------------------------------------------------
-5-2-3-4-------------------------------------------------
---------5-2-3-4-----------------------------------------
-----------------5-2-3-4---------------------------------
-------------------------5-2-3-4-------------------------
---------------------------------5-2-3-4-----------------
-----------------------------------------5-2-3-4-etc-----
위의 것들이 완성이 되면 이제 아래의 악보와 같이 섞어서 쳐보세요
-----------------------------------------4-1-2-3-etc-----
---------------------------------1-2-3-4-----------------
-------------------------3-4-1-2-------------------------
-----------------1-2-3-4---------------------------------
---------2-3-4-1-----------------------------------------
-1-2-3-4-------------------------------------------------
이제 맨처음 악보와 위의 악보를 섞어서 쳐보세요 아래처럼요
---------------------------------------------------------
---------------------------------------------------------
-------4-1-2-3--5----------------------------------------
-----3------------4--------------------------------------
---2----------------2------------------------------------
-1--------------------1-2-3-4--etc-----------------------
위의 것도 스윕과 얼터너티브 픽킹을 섞어서 써주세요
그리고 위의 악보를 아래의 것과도 섞어서 칠수 있습니다.
-----------------------------------------1-2-3--etc------
--------------------------------1-2-3-4------------------
-------------------------1-2-3---------------------------
----------------1-2-3-4----------------------------------
---------1-2-3-------------------------------------------
-1-2-3-4-------------------------------------------------
위의 것들은 사실상 프레이즈로 많이 쓰입니다. 그리고 위의 악보를 연습하는 걸로도 사실상 잉위 맘스틴이나 많은 뮤지션의 프레이즈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잉위 맘스틴 - 그는 사실 쪼개기의 천재입니다. 쪼갠다는 말이 웃는다는 말이 아니라 프레이즈를 나누는 것을 말하죠. 사실상 많은 사람들이 잉위를 싫어합니다.
하지만 그의 프레이즈가 훌륭하다는 것을 반론하는 사람은 드물죠 단지 몇 년간에 있어서 그가 매너리즘에 빠진 듯한 느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비니무어 - 비니 무어는 옛날 펩시 광고의 음악도 연주한 바가 있는 사람인데 보틀넥을 가지고 엄청난 소리를 내는 사람입니다.
광고는 둘째 치고 엄청난 앨범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랙 휴 - 이사람은 fusion rock연주 앨범으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그의 형이 보컬인 것 외에는 저도 아는 것이 없습니다.
토니 멜칼파인 - 쪼개기의 황재이지만 그리고 맛갈스런 프레이어지만 뼈가 녹는 병으로 그만 세상과 빠이빠이 했지요
Racer X - 미스터 빅의 eo is transcribed in OLGA in the lessons.
Stevie Ray Vaughan - 제가 정말 좋아하는 블루스 기타리스트 입니다. 플레이가 정말 끈적끈적 하고 맛갈스러운 사람입니다.
즐거운 연주가 되세요
.. -=스케일(Scales)=-
지금 까지의 레슨으로 손가락이 좀 풀리셨나요? 지금 까지는 왼손을 유연하게 하기위한 연습이었습니다.
이제는 스케일과 아르페지오를 이용해서 좀더 빠른 유연한 손가락을 가져 봅시다. 아 그리고 이 연습이 빠른 연주를 위한 이라고 항상 언급하고 있지만 제가 레슨을
올리는 진정한 이유는 정확한 연주, 안정된 연주라는 것을 알아 주셨으면 합니다.
먼저 기본적인 스케일인 G MAJOR 키를 이용해서 연습합니다.
--------------------------------------------2--3--5----------
-------------------------------------3---5-------------------
----------------------------2--4--5--------------------------
-------------------2--4--5-----------------------------------
----------2--3--5--------------------------------------------
-2--3--5-----------------------------------------------------
r r r r=root note(근음)
항상 그랬듯이 메트로놈을 이용해서 치고 이 스케일을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칩시다 .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전의 레슨과는 달리 이 스케일을 잘 외워두셔야 한다는 겁니다.
스케일은 여러 종류가 있고 앞으로 많이 언급하게 될것이므로 잘 알아 두셔야 합니다. 스케일에 대한 설명은 차차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악보는 위의 스케일을 응용해서 친것입니다.
도미레파미솔파라 솔시라도시레도와 같은 음간격으로 3도씩 진행한것입니다. 피아노를 배우시면 알겠지만 바이엘이라는 책에서 연습용으로 나옵니다.
-------------------------------------------------------------
-------------------------------------------------------------
--------------------------------------------2-----4--2--5----
--------------------------2-----4--2--5--4-----5-------------
--------2-----3--2--5--3-----5-------------------------------
2-5--3-----5-------------------------------------------------
-----------------2-----3-------------------------------------
-----3-----5--3-----5----------------------------------------
--4-----5----------------------------------------------------
-------------------------------------------------------------
-------------------------------------------------------------
-------------------------------------------------------------
위의 악보를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칩니다...역진행을 위해서 반드시 스케일은 역순으로도 칩니다.
그리고 앞으로 스케일(다음 레슨에서)을 한가지 포지션만말고 섞어서 치는 것을 연습할 것입니다.
이번에는 4도간격입니다.
도파레솔미라파시솔도....같이 치는 것입니다.
-------------------------------------------------------------
-------------------------------------------------------------
----------------------------------------2-----4-----5--------etc
---------------------2-----4-----5---2-----4-----5-----------
---2-----3-----5--2-----3-----5------------------------------
-2----3-----5------------------------------------------------
역시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치는 연습을 합니다.
제가 장담 할수 는 없지만 음악이론도 같이 올릴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원래는 리듬과 스케일 그리고 코드 그리고 이론을 같이 병행해서 연습해야하지만
시간도 그렇고 제 실력이 다 감당할수 있을지 염려가 되거든요 일을 너무 버려 놓으면 제 자신이 너무 초조해 지기 때문에
하여튼 앞으로 차차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스케일 설명을 할게 더있는데 이것은 초보에게 해당되는 설명인데
기타는 기타 플랫상에 똑같은 음이 여러개 인것 아시죠? 그것은 무엇을 의미 하는가 하면
예를 들어 G메이져 스케일을 두플렛 올려서 치면 A메이져 스케일이 되는 것입니다.
A코드를 친다음 한번 스케일을 쳐보세요 어울린다는 것을 느낄수 있을 겁니다.
G메이저 스케일을 이번에는 4개씩 끊어서 칩니다.
도레미파레미파솔미파솔라파솔라시.....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것들 말고도 더 늘려서 쳐도 좋겠지요?
-------------------------------------------------------------
-------------------------------------------------------------
-------------------------------------------------------------
----------------------------------------------2--------2--4--etc
----------2--------2--3-----2--3--5--2--3--5-----3--5--------
-2--3--5-----3--5--------5-----------------------------------
위의 플레이도 위에서 아래로 또는아래에서 위로 칩니다.
여기서도 중요한것은 메트로놈을 꼭 사용하라는 것이고 절대로 디스토션을 사용하지마세요
디스토션은 우리가 연습할때 실수하는 것을 못듣게 하죠 여기서는 크린톤으로 정확하게 칩시다.
그리고 연습시 TV나 비디오를 보지맙시다.
짧은 시간을 연습해도 집중해서 생각하면서 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 집중하지 않으면 손가락 연습하는 것이지 기타를 치는게 아니죠
기타는 음악을 하는 악기이니까요
위의 패턴을 5간격씩 6간격씩 쳐봅시다.
그 이상도요 그리고 자신이 더 이상의 어떤 것을 칠수 있다면 쳐보세요 그 플레이가 여러분을 미래의 최고의 기타리스트로 알려줄지도 모르니까요
벌써 흥분되지 않나요?
아래의 조그만 악보는 알디메올라의 레슨에서 인용한 것인데 처음에는 천천히 그리고 나중에 스피드를 올리는 식의 연습을 합니다.
이것 역시 메이져 스케일의 일부이고 음 스피드를 올리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될것입니다.
----------------------------
----------------------------
---------------------------- 반복~~~
--------2--3--5--3--2-------
--3--5-----------------5----
----------------------------
이런 식으로 넥크의 어느곳이든지 반복해서 연습할수 있습니다.
--------7--8--10--8--7-------
-8--10------------------10---
-----------------------------
-----------------------------
-----------------------------
-----------------------------
이건 또다른 스피드를 기르기 위한 프레이즈인데 그 유명한 폴길버트의 플레이즈입니다.
사실 저는 폴길버트를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훌륭한 플레이어 임에는 틀림이 없지요 조금씩 속도를 높여가며 연습합시다.
-------------------------------------------------------------
-------------------------------------------------------------
--------------11----------------------11--12--14--12--11-----
--11--12--14------14--12--11--12--14----------------------14-
-------------------------------------------------------------
-------------------------------------------------------------
-------
-------
------- 반복~~~
--12---
-------
-------
-=아르페지오(Arpeggios)=-
요번에는 아르페지오를 배워봅시다. 요번에는 조금만 하고 다음에 많이 하죠 분량이 많아 지니까 좀 부담되시죠?
편집해서 인쇄해가지고 화일에 끼워서 연습하세요 이것은 C 메이져 아르페지오 입니다. 한줄에 한개씩 칩니다.
-----------------3--8p3--------------------------------------
--------------5----------5-----------------------------------
-----------5----------------5--------------------------------
--------5----------------------5-----------------------------
-----7----------------------------7--------------------------
--8----------------------------------8-----------------------
여기서 우리는 드디어 스윕피킹을 연습합니다. 하하.먼저 이렇게 코드의 구성음만 이용해서 치는 것을 코드톤이라고 합니다.
스윕피킹은 보통 그 빠르기 때문에 우르르르르르라고 표현하지요 하지만 사실상 어렵지않습니다.하지만 마스터 할려면 좀 지루하게 연습해야 합니다.
하지만 노력할만한 가치가 있지요 먼저 위에서 부터는 아래 솔까지 (1번줄까지)다운 스트로크로 칩니다.그리고 다시 업스트로크로 아래에서 위로(6번줄까지) 칩니다.
C minor arpeggio(다 단조 아르페지오)
-----------------3--8p3--------------------------------------
--------------4----------4-----------------------------------
-----------5----------------5--------------------------------
--------5----------------------5-----------------------------
-----6----------------------------6--------------------------
--8----------------------------------8-----------------------
아마 단조와 장조의 차이는 여러분이 다 알고 계시겠지만 그래도 한번 설명한다면
장조 코드에서 3번째 음을 반음 내린것을 이야기 합니다. 고등학교때 음악시간에 열심히 배우셨을 꺼라고 생각하고 그럼
Major Arpeggio
--------------2----------------------------------------------
-----------3-----3-------------------------------------------
--------2-----------2----------------------------------------
-----4-----------------4-------------------------------------
--5-----------------------5----------------------------------
-------------------------------------------------------------
Minor
-----------------5-------------------------------------------
--------------6-----6----------------------------------------
-----------7-----------7-------------------------------------
--------7-----------------7----------------------------------
--5--8-----------------------8--5----------------------------
-------------------------------------------------------------
얼터너티브 피킹을 이용해서 위아래로 칩니다. 열심히...
단지 햄머링이나 풀링오프를 섞어서 연습해도 됩니다.
이상하게도 우리는 어려운 연습을 하고 있으면서도 기초에 소홀하고 있지요 기타리스트 중에는 햄머링이나 풀링오프가 상당히 불안하고 약한 사람이 있습니다.
연결되는 아르페지오 연습입니다. 조금 어렵지만 얼터너티브 피킹으로 열심히 칩시다.
여기서 또 한마디
제가 처음 이런걸 하기 때문에 참 설명이 부실합니다. 이렇게 중간 중간에 잡담을 하다니 피킹중에 오른손은 절대로 기타에 붙이지 맙시다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또 아래에서 위로 칠때 픽크가 일자를 그리게 합시다.
스트로크는 활이 휘듯이 아래위로 치지만 솔로시에는 정확하게 위아래로 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정확성을 높일수 있고 기타줄은 중간 뒤 앞 등 튕기는 곳마다 소리가 틀리기 땜시 그렇게 땜시 (때문에) 같은 위치를 쳐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
-------5--4-------------9--5--------------11--7--------------
----4-------5--------7--------7--------9---------9---------10
-3-------------7--5--------------9--7---------------10--9----
-------------------------------------------------------------
-------------------------------------------------------------
-------------------------------------------------------------
-12--11------------------16--12------------------------------
---------12----------14----------14--------------------------
-------------14--12------------------15--13--12--------------
-------------------------------------------------15--13--12\-
참고로 위의 키는 Em입니다.
이번 레슨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4번째 시간은 제가 내일 좀 바쁜 나머지 2.3일 후에야 올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자 열심히 연습하시고
멋진 연주를 위하여
오늘도 역시 스케일과 아르페지오를 이용한 스피드 업 공부입니다.
역시 염두해 두실것은 먼저 천천히 정확하게 치는 연습을 하고 조금씩 속도를 더해 간다는 것입니다.
------------------------------------------------------------
-----------------------------------------------10-----------
------------9-10---------9-10-12-------9-10-12--------9-10--
----9-10-12------9-10-12---------10-12-------------12-------
-12---------------------------------------------------------
------------------------------------------------------------
------------------------------------------10----------------
----10-12---------10-12-13-------10-12-13--------10-12-13---
-12-------9-10-12----------10-12--------------12------------
------------------------------------------------------------
------------------------------------------------------------
------------------------------------------------------------
-10-12----------10-12-13~-----------------------------------
-------10-12-13---------------------------------------------
------------------------------------------------------------
------------------------------------------------------------
------------------------------------------------------------
------------------------------------------------------------
#2
-13-12-10-----------12-10-------------10--------------------
----------13-12--10-------13-12-10-------13-12-10-----------
-----------------------------------12-------------12-10-----
------------------------------------------------------------
------------------------------------------------------------
------------------------------------------------------------
------------------------------------------------------------
-13-12-10---------12-10-------------10----------------------
----------12-10-9-------12-10-9--------12-10-9-------12-10-9
--------------------------------12-------------12-10--------
------------------------------------------------------------
------------------------------------------------------------
------------------------------------------------------------
------------------------------------------------------------
------------------------------------------------------------
-12-10-9----------------------------------------------------
---------12~------------------------------------------------
------------------------------------------------------------
크로메틱보다는 좀 들 지루하죠?
이번에는 여섯줄 말고 3.4줄을 사용해서 아르페지오를 하는 연습을 하죠 여기 A마이너 아르페지오가 몇개 보이시죠?
-------12-17-------------12-17p12---------------------------
----13----------------13----------13------------------------
-14----------------14---------------------------------------
------------------------------------------------------------
------------------------------------------------------------
------------------------------------------------------------
-------12--17p12----------12-17p12--------------------------
----13-----------13----13----------13~----------------------
-14-----------------14--------------------------------------
------------------------------------------------------------
------------------------------------------------------------
------------------------------------------------------------
위의 아르페지오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사실상 같은 아르페지오 입니다. 아 그리고 또 얘기하는 것이지만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자꾸 언급합니다.
디스 토션을 끄시고 크린톤으로 맑을 소리를 낼수 있게 하고 그리고 친후에는 잡음이 생기지 않게 뮤트시켜주세요
그리고 아래와같이 위의 몇개의 아르페지오를 섞어서 칠수도 있습니다.
---------12--17p12-13-12-------------12tr17--12tr13--etc----
-----13------------------15-13----13------------------------
-14----------------------------14---------------------------
------------------------------------------------------------
------------------------------------------------------------
------------------------------------------------------------
좀 단조롭로 지루하던 것을 탈피해 생각하면서 연습할 시간이 왔습니다. 뭐 별건 아니고 단지 제가 제시한 아르페지오를 다른 코드에 맞추어서
해 보시라는 겁니다. 아주 색다른 것을 깨닳을 것입니다.
스윕이 보이지요? 이제 조금 있으면 여러분은 스윕을 하게 됩니다.
-------12--17p12--------------------------------------------
----13-----------15p12--------------------------------------
-14--------------------15p14p12~----------------------------
------------------------------------------------------------
------------------------------------------------------------
------------------------------------------------------------
오늘의 또한가지 이야기
음
코드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울림이 좋은 코드 (재즈에서 많이 쓰이는 텐션이라든가) 아니면
리듬기타처럼 (치카치카라고 하죠) 짧게 쳤을때 맛깔 스러운 코드 등 근데 속주를 잘하는 기타리스트 중에 가끔씩 오해하는 경우가 있죠
그래서 천천히 쳐야지 좋은 스케일이나 아르페지오를 빠르게 처리하는 안타까운 일을 행하죠
참 안타까운 일이죠?
잘 치는 기타리스트는 손가락의 유연함이 아닌 생각이 더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이야기죠
자 여러분 자신만의 코드를 만듭시다. 기타위에는 참 많은 코드가 있죠?
D Major G Major
---------10--14p10-----------------10--15p10----------------
-----10------------10-----------12-----------12-------------
-11--------------------------12-----------------------------
------------------------------------------------------------
------------------------------------------------------------
------------------------------------------------------------
C F A Minor
-----8--12p8----------------8--13p8------------4--7p4-------
---8---------8-----------10---------10-------5--------5-----
-9--------------------10-------------------4----------------
------------------------------------------------------------
------------------------------------------------------------
------------------------------------------------------------
-5----------------------------------------------------------
---5--------------------------------------------------------
-----5------------------------------------------------------
-------7----------------------------------------------------
---------7--------------------------------------------------
-----------8--5~--------------------------------------------
그리고 자신만의 코드가 생긴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해보세요
I III V 만 가지고 메이져 아르페지오를 진행합니다.
I bIII V 를 가지고 마이너 아르페지오를 진행하구요
만약에 E마이너 아르페지오라면 : E F# A 간단하죠? 하하하
그리고 VII (D#)을 더하면 7th 아르페지오이지요? 디미니쉬(Diminished),오그먼티드( Augmented),
어떤 스케일이나 코드는 자신만의 진행이 있는데 잘 이용하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플레이만으로 사람들이 자신을 알아 볼수 있게 할수 있습니다.
에릭클립턴이나 잉이맘스틴 등 많은 플레이어들이 독특한 자신만의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사람이 되었죠? 음 큰사람이라 .....(좀 표현이 이상하지만)
디미니쉬 아르페지오(Diminished Arpeggios)
--5p2-----------2---5----8p5-----------5--8-----------------
-------4-----4----------------7-----7-----------------------
----------5----------------------8--------------------------
------------------------------------------------------------
------------------------------------------------------------
------------------------------------------------------------
-11p8--------------8---11------14p11--------------11---14---
-------10------10---------------------13------13------------
-----------11-----------------------------14----------------
------------------------------------------------------------
------------------------------------------------------------
------------------------------------------------------------
위의 것은 디미니쉬 코드와 아르페지오입니다. 디미니쉬의 비밀은 위에서 보시면 잘알겠지만 어디에서나 같은 간격을 가진다는 거죠.
이제부터 아니 이전 부터 여러분들은 아르페지오의 형태와 근음(ROOT) 그리고 진행을 잘 외워 두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써먹어야 하니까요 배우면 써먹어야죠 하하하 여러분 에드립을 할때 잘 써 먹읍니다.
아래는 마이너 아르페지오 입니다.
아래의 경우는 A마이너 인데 플렛 어디에서나 이런 아르페지오를 칠수 있다는건
아시죠?
-5------------
---5----------
-----5--------
-------7------
--------------
--------------
-5------------
---5---------- 요것은 메이져 아르페지오지요
-----6-------- 위와 비교하면 차이가 한눈에 보이지요?
-------7------
--------------
--------------
메이져 아르페지오(Major Arpeggios) 몇가지 입니다.
---------2-------------------------3----------5-------------
-------3-------------------------3-------2--5---------------
-----2--------------2----------4-------2--------------------
---4--------------2----------5------------------------------
-5--------------4-------------------------------------------
--------------5---------------------------------------------
r r r r
마이너 아르페지오(Minor Arpeggios)몇가지 이구요
----------------2-------------------------------3----------3
-------------3-------------------------------5--------3--5--
----------4-------------------------------4--------2--------
-------4----------------------3-----2--5--------------------
-2--5----------------------3--------------------------------
---------------------1--4-----------------------------------
r r r r
이것들은 아르페지오의 기본 형태 입니다. 항상 모든 복잡한 것들은 기본에서 나오지요?
아르페지오역시 위의것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 할수 있습니다. 그리구요 스윕을 싫어 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실 꺼예요
왠지 싫다거나 이유없이 밉다거나 아니면 내 스타일에는 필요없다거나 여러분은 3번째 이길 바랍니다.
그런 분들은 이런 아르페지오를 코드톤으로 사용하기를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 (근데 미국 기타리스트 들은 상당히 싫어하죠-너무 이쁘게 생겨서
질투하나?) 누노 배텐커트(Nuno Bettencourt)가 그러하지요
여러분도 이런 것들은 자신의 스타일에 맞추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것중 하나가 바로 남이 가르쳐 주는데로 그래로 하는 것이거든요
------------5--8--5---------------------------17--20--17----
------------------------------------------------------------
------5--9-----------9--5-------------17--21----------------
--7------------------------------19-------------------------
------------------------------------------------------------
------------------------------------------------------------
헴머링온 그리고 플링오프 그리고 얼터너티브 피킹을 섞어서 자 쳐봅시다.
펜타토닉 스케일을 변형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한것인데 아래의 것으로 펜타토닉스케일 속주를 할수 있겠죠?
[1]
-15-12------------------------------------------------------
-------15-12-15-12------------------------------------------
-------------------14-12-14-12------------------------------
-------------------------------14-12-14-12------------------
-------------------------------------------14-12-14-12------
-------------------------------------------------------15-12
[2] [3]
Repeat Repeat
-12-15-12----12-15-12-----|-15-12----12-15-12----12--------|
----------15----------15--|-------15----------15-----------|
--------------------------|--------------------------------|
--------------------------|--------------------------------|
--------------------------|--------------------------------|
--------------------------|--------------------------------|
[4] [5]
-12----------12-----------|-----12----------12-------------|
----15-12-15----15-12-15--|--15----15-12-15----15-12-------|
--------------------------|--------------------------------|
--------------------------|--------------------------------|
--------------------------|--------------------------------|
--------------------------|--------------------------------|
2-5 을 연습하면 여러분은 펜타토닉스케일과 친해질수 있습니다. 만약에 친해지지 못하더라도 친한척은 할수가 있죠. 좀 어색한 표정을 지으면서
근데 펜타토닉은 너무나 친숙한 스케일이기 땜시 잘못치면 촌빨이 날릴수 있습니다. 좀더 세련되고 멋진 그리고 색다른 연주를 할려면 다른 스케일과 섞어 쓰는게
좋을 꺼예요.
자 여러분 재미 있으셨나요? 물론 재미는 없겠죠? 보너스로 아래에 여러가지 기타에 관한 글을 씁니다.
-------------------------------------------------------------------
첫번째로 비브라토 이야기입니다.
비브라토가 뭔지는 알겁니다.혹시 모르시는 분을 위해 떨림이라고 하면 기타줄의 몸부림이라고 하면 아실까 ?
비브라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기타리스트들은 상이하게 비브라토를 사용합니다.
비브라토는 연주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합니다.
기타 교본에 보면 비브라토는 기초에 나와 있기 때문에 무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기타음을 다스리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나 기초적이지만 그만큼 잘하기는 힘듭니다.
그렇게 때문에 시간을 가지고 꾸준히 자신의 비브라토를 발전시키지 않으면 안됩니다.
Yngwie,Steve Vai, Angus Young, Alex Skolnick, Joe Satriani 같은 사람들이 우리의 귀감이 되는 사람들입니다.
Yngwie는 좀 특이한 비브라토를 사용합니다 : 여러분도 해보세요. 먼저 치고나서 바로 흔드는 것이 아니라 처음엔 천천히 흔들다가 점점 스피드를 가합니다.
잉위는 바로 비브라토를 하는것이아니라 마치 보컬이 숨을 쉬듯이 좀금 쉬고서 흔든다는 것이죠.이 비브라토에 대한 느낌은 여러분의 것입니다.
Angus 는 (AC DC있는 사람 입니다.) 아주 빠르고 타이트한 비브라토를 합니다.
그 이유는 좀 긴 서스테인을 (음의 여운)만들기 위해서죠 흔들어 주세요...
위의것들은 발전시키고 여러분의 플레이에 반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비브라토는 솔로에 있어서 여러분을 최고와 별거아닌 기타리스트로 나눌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니까요
이외에 이펙터 얘기나 여러가지 얘기를 하고 싶지만 좀 천천히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도록 하죠
안녕하세요?
5번째 레슨 시간 입니다.
오늘 이시간에는 스케일을 연결하는 것과 중요한 릭(속주)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준비 되셨나요?
여러분이 5종류의 포지션을 안다고 생각하고 아래의 악보를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의 악보에서는 5가지 포지션을 멈추지 않고 연결해서 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만약 5가지의 포지션을 모르신다고 할지라도 계속 읽다보면 어느새 알게 되실겁니다.
먼저 E마이너 키에서 아래 2줄 (즉 미와 시줄을 )을 가지고 연습해보겠습니다.
----------2--4--5/8--7--5--------------------7--8--10/12--10
-2--3--5-------------------8--7--5/7--8--10-----------------
------------------------------------------------------------
------------------------------------------------------------
------------------------------------------------------------
------------------------------------------------------------
-------------------------12--14--15-------------------------
--13--12--10/12--13--15-------------------------------------
------------------------------------------------------------
------------------------------------------------------------
------------------------------------------------------------
------------------------------------------------------------
B & G 줄만 칩니다.
------------------------------------------------------------
--------2-3-5/8-7-5-----------7-8-10/13-12-10---------------
-2-4-5--------------7-5-4/7-9-----------------12-11-9/11-12-
------------------------------------------------------------
------------------------------------------------------------
------------------------------------------------------------
------------------------------------------------------------
----12-13-15------------------------------------------------
-14---------------------------------------------------------
------------------------------------------------------------
------------------------------------------------------------
------------------------------------------------------------
D & G
------------------------------------------------------------
------------------------------------------------------------
-------2-4-5/7-5-4--------------7-9/12-11-9-----------------
-2-4-5-------------7-5-4/7-9-10-------------12-10-9/12-14-15
------------------------------------------------------------
------------------------------------------------------------
------------------------------------------------------------
------------------------------------------------------------
------------------------------------------------------------
------------------------------------------------------------
-15-13-12---------------------------------------------------
------------------------------------------------------------
D & A
------------------------------------------------------------
------------------------------------------------------------
------------------------------------------------------------
-------2-4-5/7-5-4--------------7-9-10/12-10-9--------------
-2-3-5-------------7-5-3/7-9-10----------------12-10-9/12---
------------------------------------------------------------
------------------------------------------------------------
------------------------------------------------------------
------------------------------------------------------------
-------12-14-15---------------------------------------------
-13-15------------------------------------------------------
------------------------------------------------------------
A & E
------------------------------------------------------------
------------------------------------------------------------
------------------------------------------------------------
------------------------------------------------------------
-----------2-3-5/7-5-3-------------5-7/9-10-12--------------
---0h2-3-5-------------7-5-3/5-7-8-------------10-12/15-14--
------------------------------------------------------------
------------------------------------------------------------
------------------------------------------------------------
------------------------------------------------------------
----12-13-15------------------------------------------------
-12---------------------------------------------------------
자신이 생각하기에 연결이 가능하다고 생각될때 까지 연습합니다. 그리고 다른 키로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C,C#,D,D#,E,F,.....)로 할수 있죠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메트로놈을 항상 사용하고 항상 맑은 톤을 가지고 연습합시다.
자신이 틀리는지 아닌지 알기 위해서 그리고 위의 스케일을 헴머링(hammerons)그리고 풀링오프(pulloffs),슬라이드(slides)
탭핑(tapping) (만약에 탭핑을 모른다면 에디 밴헤일런을 들어봅시다.)
그리고 다른 기술도 섞어서 연습합니다.좀더 다양한 느낌을 낼수 있을 겁니다.
제가 더 자세하게 설명할수도 있지만 여러분의 창의성 또한 레슨에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7/8h10h12--------------------
--------5h7h8/10-8p7----------------------------------------
-4h5h7---------------9p7\4h5/7-----------12p10p9------------
-------------------------------------------------12\10~-----
------------------------------------------------------------
------------------------------------------------------------
자 위와 같이 섞어서 쓰는 것이 좋겠지요?
잡담:
알디메올라와 아란 홀드스워트는 서로 씹는데 하하 씹는다니까 좀 그렇죠? 서로 험담을 하는데
알디 메올라는 아란에게 게으르다고 얘기하죠(왜냐하면 아란은 플레이중에 상당히 많은 연결기술-헴머링 슬라이드등-을 쓰거든요)그리고
아란은 알디메올라에게 지루한 프레이를 한다고 얘기하죠(왜냐하면 알디메올라는 모든 음을 피킹으로처리하거든요) 물론 여러분은 두가지 경우를 다배워야 겠죠?
두사람의 엘범을 사서 한번 들어보시는게.....
여러분이 보통 이 레슨을 보실때는 밤인걸로 알고 있는데 아직 졸고 계신것 이닌지 자 여러분 졸지말고 지난 시간의 레슨을 봅시다
아래는 기억하는지 모르지만 거기 나왔던 아르페지오 입니다.
----------12--15p12-------------10/12h13h15~----------------
------13------------15p13p12\10-----------------------------
--14--------------------------------------------------------
------------------------------------------------------------
------------------------------------------------------------
------------------------------------------------------------
아르페지오 예제입니다.
-----------7-10p7-10/12h10p8----8---------------------------
-8-------8-------------------12---12/13p12p10---------------
---9p7-9----------------------------------------------------
------------------------------------------------------------
------------------------------------------------------------
------------------------------------------------------------
---------------8p6p5--------------------0/8p5---------------
---------5h6h8-------8\6--------------1-------8p5-8b(10)~~~-
-------5-----------------7p5p4\2p0--2-----------------------
-----7------------------------------------------------------
------------------------------------------------------------
------------------------------------------------------------
A 마이너 아르 A마이너 슬라이 Am아르페지오 A펜타토닉
------------------------------------------------------------
-------5----------------------------------------------------
-8-7-5---7--5~----------------------------------------------
------------------------------------------------------------
------------------------------------------------------------
------------------------------------------------------------
아래는 잉위맘스틴 예제 입니다. 얼굴이 파래지신분이 계시군요 하하 천천히 쳐봅시다.단지 연습일 뿐이니까요
-8h10h12p10p8-----------------------------------------------
--------------12p10p8\7/8h10h12p10p8----------------7h8p7---
-------------------------------------12p10p8\7h8h10---------
------------------------------------------------------------
------------------------------------------------------------
------------------------------------------------------------
--------------------5h7h8p7p5-------------------------------
--------------6h7h8-----------8p7p5\4/5h7h8p7p5-------------
-10p8p7\6h7h9-----------------------------------8p7p5\4h5---
------------------------------------------------------------
------------------------------------------------------------
------------------------------------------------------------
-------------3p2p0------------------------------------------
-------------------4p3p1------------------------------------
-h7p5p4------------------3p2p0------------------------------
--------7p5--------------------4p3p1------------------------
------------------------------------------------------------
------------------------------------------------------------
정말 처절하 프레이즈죠? 식은 땀을 흘리시는 군요
하하하ㅎ
여러분이 가진 스케일을 가지고 이런식으로쳐보세요 자 좀 들 지루할겁니다.
멋지게 폼을 잡고 하지만 마지막에 비브라토를 잊지 마세요
중요한 릭을 배웁시다.(PEDAL NOTES) 자 연결 하는 플레이즈인데 페달 노트라고도 합니다.
페달이라는 것은 음악이론에서 가장 처음 부분에 설명하는 것중에 하나인데
예를 들어 어떤 키상에서 연주되는 음사이를 연결하는 음같은것을 코드톤이라고 하죠 좀 이해가 어렵나요?뭐라고 설명하지?
A 마이너(Minor)
----------15----13----12------------------------------------
-------12----12----12----12-15--12-13~----------------------
------------------------------------------------------------
------------------------------------------------------------
------------------------------------------------------------
------------------------------------------------------------
-----15-14-15-12-15-14-15----15-14-15-12-15-14-15--etc------
-12-----------------------13--------------------------------
------------------------------------------------------------
------------------------------------------------------------
------------------------------------------------------------
------------------------------------------------------------
이번 것은 좀 상쾌한 사운드를 냅니다. 그리고 콤비내이션연주를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고 연습용으로도 좋습니다.
올라갔다가 내려왔다가 해야겠죠?
-----15----15------15------15------15------15------15------15~
-----------------------12------13------15------12------14---
-11----12------14-------------------------------------------
------------------------------------------------------------
------------------------------------------------------------
------------------------------------------------------------
비마이너입니다.(B Minor)
------------10----------12----------14----------12----------
--12--11-12----12-11-12----12-11-12----12-11-12----12-11-12-
------------------------------------------------------------
------------------------------------------------------------
------------------------------------------------------------
------------------------------------------------------------
-15----------12----------14----------10----------12---------
----12-11-12----12-11-12----12-11-12----12-11-12----12-11---
------------------------------------------------------------
------------------------------------------------------------
------------------------------------------------------------
------------------------------------------------------------
----9-------------------------------------------------------
-12---12-10-10~~~~~-----------------------------------------
------------------------------------------------------------
------------------------------------------------------------
------------------------------------------------------------
------------------------------------------------------------
에이 마이너구요(A Minor)
-7---------8---------10---------12---------13---------12----
---10-9-10---10-9-10----10-9-10----10-9-10----10-9-10----10-
------------------------------------------------------------
------------------------------------------------------------
------------------------------------------------------------
------------------------------------------------------------
------10---------8------------------------------------------
-9-10----10-9-10---10-9-10----------------------------------
------------------------------------------------------------
------------------------------------------------------------
------------------------------------------------------------
------------------------------------------------------------
아래의 릭은 잉위맘스틴 겁니다.
A Minor
-12-10-12-8-12-7-12----12---12-------13-12-13-10-13-8-13----
--------------------10----9----10------------------------12-
------------------------------------------------------------
------------------------------------------------------------
------------------------------------------------------------
------------------------------------------------------------
-13----13---------10-8-10-7-10-5-10---10---10---------------
----10----12------------------------9----7----9-------------
------------------------------------------------------------
------------------------------------------------------------
------------------------------------------------------------
------------------------------------------------------------
-8-7-8-5-8-3-8---8---8--------------------------------------
---------------6---5-----6~---------------------------------
------------------------------------------------------------
------------------------------------------------------------
------------------------------------------------------------
------------------------------------------------------------
이제 여러분은 여러분이 좋아하는 키와 코드에서 위와같이 칠수 있을겁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렉기타 스케일 궁금증... (0) | 2010.05.02 |
---|---|
일렉기타 픽업의 조합과 사운드 변화 (0) | 2010.04.23 |
Bass Guitar EQ 잡는 법 (0) | 2010.04.21 |
Acoustic Guitar (0) | 2010.04.21 |
Electric Guitar EQ 잡는법 (0) | 201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