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집

한옥의 요소

보고 느끼고 2009. 3. 30. 02:05

한옥의 요소
 
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hanok/introduce/element.jsp
 
 
  사진
대청

안채의 안방과 건넌방, 사랑채의 사랑 큰방 앞의 넓은 마루를 '대청'이라 칭한다. 대청은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의식과 권위를 표현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며 각각의 방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오늘날 주택의 거실에 해당하는 공간이다. 대청은 한여름의 무더위를 이기기 위해 현명하게 고안한 가옥의 구조라고 할 수 있는데 전면 또는 사방이 트여있어 반 외부, 또는 반 내부라고 할 수 있는 묘한 공간이다. 마당에서 대청으로 오르기 위한 기단이 있고, 그 위에 댓돌이 있다. 댓돌에 신을 벗고 올라서면 앞 툇마루를 거쳐 대청으로 들어간다. 대청의 크기는 2칸에서 8칸까지 다양하며, 종가의 경우, 대청의 크기는 제사 때 참여하는 인원의 수에 비례한다.

 

사진
온돌방

온돌이 깔린 방은 잠을 자고, 식사를 하고, 책을 읽고, 가사작업을 하며, 휴식을 취하는 복합용도 공간이다. 그러나 방의 형태는 단순하다. 가수를 최소화하고 벽장이 발달하여 거의 모든 가재용품을 벽장 안에 수납하여, 방은 네모반듯한 빈 공간으로 유지한다. 이부자리를 펴면 침실이 되고, 방석을 깔고 앉으면 응접실이 되며, 경상을 펴면 서재가 된다. 그야말로 다목적실인 셈이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 바닥에 바로 앉아서 생활하기 때문에 방은 늘 청결하게 유지된다.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방은 바로 한옥의 온돌방이었다. 방의 내부는 모두 벽지나 천장지를 발랐으며 바닥은 장판지로 마감하였다.

 
사진
부엌

불을 지펴서 음식을 조리하는 부엌은 안방과 바로 인접하였으나 일부 큰 집에는 반빗간이라 하여 별채로 독립시키기도 하였다. 부엌 바닥을 일반적으로 방바닥보다 75-90 cm 정도 낮게 하여 아궁이에서 땐 불길을 방고래로 빨아들이도록 되어 있는'온돌구조' 때문이다. 아궁이는 안방과 면한 벽 쪽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동시에 방을 데우도록 하였다. 부엌은 주택의 규모에 따라 안방과 건넌방에 각각 위치하는데 안방과 접한 부엌이 주된 조리 공간이었으며 건넌방 쪽은 물을 데우는데 쓰이는 등 보조적인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부엌의 바닥은 흙에 강회를 섞어 다진 ‘흙바닥'이다. 한옥의 바닥재는 방의 ‘구들', 대청이나 고간의 ‘마루', 그리고 부엌이나 헛간의 ‘흙바닥' 등 주로 세 가지가 쓰였다.

 
사진
찬방

찬방 또는 찬마루라고 불리는 이곳은 오늘날의 다용도실 정도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반가나 중, 상류층 가옥에서 볼 수 있는 부엌과 인접한 공간이다. 부엌과는 문으로 연결되어 있어 부엌에서 조리된 음식을 이곳에서 상에 올려 안방, 사랑방 등으로 내갔으며 간단한 음식은 이곳에서 조리하였다. 이곳에는 상을 차리는데 필요한 그릇, 식기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로도 쓰였다.

 
사진
사랑채와 안채

사랑채는 집안의 가장인 남자 어른이 기거하면서 책을 보고 손님을 맞는 사회적 공간으로 쓰였다. 사랑 대청을 사이에 두고 아버지가 기거하는 큰 사랑방과 아들의 작은 사랑방이 서로 마주본다. 반면 안채는 여자주인과 며느리, 딸들의 공간이었다. 안채는 안대청을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으로 나뉘어,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각각 방을 차지했다. 안채와 사랑채는 엄격하게 구분하여,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적 덕목을 주택에 실천한, 조선시대의 독특한 주거형식이다.

 
사진
행랑

사랑채나 안채는 독립된 구조와 형태를 갖지만, 행랑채는 작은 방들이 일렬로 길게 늘어서 간단한 구조와 부속적인 형태를 갖는 집이다. 여기에는 하인들이 기거하는 방들, 창고, 외양간, 문간 등 다양한 부속기능들을 수용하는데, 옆으로 긴 형태이므로 집안의 형편에 따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행랑채는 담장 대신 마당을 감싸며 외부와 차단하는 강력한 경계요소가 되기도 하며, 사랑채나 안채를 돋보이게 하는 시각적 배경 요소가 되기도 한다. 건물의 형식부터 ‘상하위계'가 나타나듯, 안채나 사랑채보다 한 단계 격이 낮은 구조와 형태를 갖는다.

 
사진
사당

조상숭배의식의 정착과 함께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 안채의 안대청 뒤쪽이나 사랑채 뒤쪽 제일 높은 곳에 '사당'이라는 의례 공간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보통 사당에는 4대의 신위를 모시는데 서쪽부터 고조의 신위, 증조의 신위, 할아버지의 신위를 모시며 마지막에 부모의 신위를 모신다. 각 위 앞에는 탁자를 놓으며 향탁은 최존위 앞에 놓았다. 대개의 중상류 주택은 가묘법에 따라 사당을 건축하지만 사당이 없는 집도 있어 그런 집에서는 대청마루에 벽감을 설치해 신위를 모셨다.

 

'아름다운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원이 있는 공간...  (0) 2010.05.07
실내를 화사하게 만드는 화초 가꾸기  (0) 2010.03.28
한옥의 지역별특징  (0) 2009.03.30
한옥의 종류  (0) 2009.03.30
한옥의 특별함  (0) 2009.03.30